LTV, DSR, DTI가 뭐지? (홍남기 부총리 12·16 대책)

부동산 STUDY|2019. 12. 16. 22:07

[ 정부가 시가 9억원 초과 주택에 적용하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강화한다. ]

 

홍 부총리는“모든 차주를 대상으로 시가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하고 그 외 주택은 시가 9억원 초과분에 대해 주택담보대출 LTV 한도를 40%에서 20%로 대폭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회사별로 관리되고 있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는 개별 차주단위로 모든 대출을 통합 관리하는 등 규제를 우회하여 대출을 받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3일부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의 담보대출 차주에 한해 DSR 한도는 은행권이 40%, 비은행권은 60%가 적용된다. 이후 오는 2021년말까지 모두 40%로 하향조정한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912161342482497

 

 

 

오늘 친구가 12·16 대책이란 기사를 보여주며 LTV, DSR이 뭔지 물어보았다.

이렇게 경제기사를 보다보면 그 기사와 관련된 기본기식을 알아야 그 내용을 이해하기 수월해진다.

 

친구를 위해 LTV, DSR이 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DTI는 덤으로!)

 

돈이 차고 넘쳐서 집을 구매할  현금으로 구입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보통은 부동산담보대출을 받고 부동산을 구매하는데, LTV, DTI, DSR은 쉽게말하면 내가 대출 받을 수 있는 비율을 뜻한다.

 

1. LTV ( Loan To Value ratio )

: 부동산가치에 대한 융자액의 비율. 즉, 부동산담보 대출비율을 말한다. '대부비율'이라고도 함.

즉, 위의 기사에서 LTV 한도가 40%란 의미는 대출받을 수 있는 한도가 " 부동산가격 X 40% " 란 뜻이다.

 

LTV비율은 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그외 지역마다 적용되는 비율이 다른데 그에 관해서는 차 후에 포스팅..

 

 

2. DTI ( Debt To Income )

: 소득대비 대출비율. 즉, 연소득 중에서 갚아야하는 부동산 담보대출의 원금과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도 함.

 

 

예를들어 DTI 한도가 50%라면 본인의 연 소득이 3천만원일때 연간 원리금(원금+이자)합계가 연소득의 50%인 1천5백만원을 초과하여 대출을 받을 수 가 없다. 1달로 따지면 한달 원금+이자가 125만원 이상으로 상환해야하는 대출은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계산하기 쉽게 DTI 한도가 50%라는 가정을 했는데, 버는 돈의 절반이나 대출 원리금으로 나간다면 과연 대출받은 사람은 상환을 잘 할 수 있을까? 

그렇기에 이 수치가 낮을 수록 빚 상환 능력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DSR ( Debt Service Ratio) )

: 위의 DTI의 개념에서 대출(빚)의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연소득 중에서 갚아야하는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라고도 한다.

이건 개인의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신용카드 미결제액, 리스 등 모든 원금과 이자를 통틀어 계산한다. 즉, 그 사람의 모든 대출 상환 능력을 보는것이다. 

 

연봉이 3천만원, 주택담보대출로 연간 5백만원, 학자금 대출이자가 1백만원 이라면 DSR은 

(5백만+1백만)/3천만 = 0.2 

즉, DSR은 20%가 나온다.

 

 

LTV는 쉬우니 DTI로 계산 할 수 있는 대출 가능금액 계산하는 포스팅도 올리고,

 

-> 나의 대출가능금액, 대출상환금액 계산하는방법은 여기서! [링크]

 

위 기사에 나온 용어들 중 정리하여 공부할만한 용어들이 많이 나오니 이 용어들 역시 천천히 차례차례 포스팅 할 예정!

 

 

 

☆ LTV, DTI, DSR축소 하겠다는 말은 앞으로 대출 받기 힘들게 하겠다는 내용임을 대충은 알 수 있다.

(물론 기사에서는 시가 15억원 초과, 시가 9억원 초과 등등 고가의 주택을 겨냥한 것이긴 하지만 말이다.)

 

 

 

 

 

 

 

 

 

 

 

 

 

 

 

 

댓글()